들어가며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냈습니다. 2024년을 되돌아보고 2025년에는 뭘 하고 싶은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창업

2년간 Backend Engineer로 일하면서 뭘 개발할지 선택하는 결정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계속 Backend Engineer로 커리어를 지속한다면 한 명의 엔지니어로서 잘 해낼 자신이 있었지만 일을 잘 하는 사람이 될 것인가에 대해선 의문이 있었습니다. 엔지니어로서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건 중요하지만, 어쨌든 직접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사람은 아닙니다. 그래서 창업을 하기로 결심했고 올해 2개의 창업 팀을 거쳤습니다.

첫 팀에서는 회사의 개발자가 아닌 창업팀의 개발자가 가져야 할 프로덕트에 대한 관점을 배웠습니다. 되돌아보건대, 한 명의 팀원이라기보다 엔지니어라는 역할에 집중했던 것 같습니다. 초기 창업팀에서는 어쩔 수 없이 제너럴리스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반해 엔지니어링 베이스로서 제너럴한 일을 수행하기보다 하던 대로 엔지니어링에 집중하려고 했었고, 그래서 좀 더 기여할 수 있던 부분을 놓친 것 같아 아쉽습니다. 반면에 회사에 속한 개발자가 아닌 초기 창업팀의 개발자가 프로덕트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서는 생각을 정말 많이 했었고, 집중적으로 인사이트를 얻은 점이 좋네요.

두 번째 팀에서는 대화의 중요성에 대해 배웠습니다. 첫번째 팀보다 좀 더 비즈니스적인 부분을 신경썼습니다. 엔지니어링 역할에 치중된 것은 같지만 비즈니스 부분을 좀 더 숙고해서 설계하고 개발했습니다. 첫 팀에서보다 많은 진보를 이뤘지만, 팀과 대화가 모자랐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내가 생각한 비즈니스는 프로덕트에 잘 녹아들어갔지만, 팀의 비즈니스는 프로덕트에 융화가 잘 되지 않았습니다. 회사를 다닐 때에 혼자 개발할 일이 많았는데 그 때 느끼지 못했던 대화의 중요성을 정말 크게 느꼈습니다.

두 창업팀에서 1년을 되돌아보건대 원하는 경험 - 뭘 개발할지 선택하는 결정 -을 많이 얻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개발력에서 조금 밀릴지 모르겠으나 비즈니스를 고려하는 능력이 커져서 결과적으로 보통의 3년차 개발자보다 많이 성장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추가적으로, 내가 내리는 의사결정들과 세계관들이 내 베이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크게 느꼈습니다. 다른 코파운더들과 내리는 결정의 결이 조금 다르다고 해야할까요. 나쁜 것 같진 않습니다. 이게 진정 ‘원하는 경험’에 가까운 것 같기도 합니다.

pycon

PyCon2024에서 연사로 발표했습니다. 21년 즈음부터 PyCon2024에서 발표한 주제로 발표할 것을 생각해서 3년 만에 무대에 섰습니다. 오랜 소망이다보니 발표가 끝나면 성취감이 클 것으로 생각했는데, 전혀 아니었습니다. 발표가 끝난 다음주부터 번아웃을 겪었습니다. 파이콘이 있던 주말 바로 다음 월요일, 일하러 나가야 했지만 집에서 하루종일 잤습니다. 그냥 저도 모르게 갑작스럽게 그랬습니다. 몇 주정도 마음 속에 공허함이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레 사그라들었지만 파이콘이 끝나고 파이콘을 준비하면서 나를 점유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이 나를 빠져나간 것 같았습니다. 인생의 목표가 하나 사라져버린 느낌이었습니다. 대처하는 방법이 미숙했고 준비 기간동안 운동을 쉬어서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하기는 합니다. 하나의 목표가 끝나도 다른 목표가 기다리는 인생을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현재에 발을 딛고 서서 맑은 정신으로 미래를 쳐다보는 삶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느겼습니다.

개발

개발 측면에서는 한 분야를 딥하게 파고든 부분보다 여러 분야를 제너럴하게 팠습니다. 프론트엔드(리액트)를 공부해서 백엔드 엔지니어에서 웹 풀스택 엔지니어가 되었습니다. AWS, GCP에서 벗어나 다양한 배포 환경 및 방법을 배웠습니다. SQLite에 Litestream으로 DB 인스턴스 없이 배포하기, vercel/railway/render/supabase로 초고속 배포하기 등등등. 아쉬운 점은 노코드를 공부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노코드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컴퓨팅 사고가 필요한 것이 대부분인데 개발자라는 아이덴티티에 갇혀 훨씬 더 높게 날 수 있는 능력 - 노코드와 개발을 섞어 프로덕트 만들기 - 를 하지 않았습니다. 올해에는 노 코드/로우 코드를 좀 더 찾아볼 생각입니다.

학교

학생 신분으로서 막연하게 이득이 되지 않을까 기대해서 졸업하지 않고 수료 상태로 1년을 보냈습니다. 1년을 되돌아보았을 때 수료 상태여서 이득이 된 것은 크게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최종적으로 수료/졸업 여부를 확정짓기 전까지 시간이 좀 남긴 했지만 올해 2월에 졸업할 예정입니다. 학생 신분이 주는 울타리를 벗어난다는 두려움이 있지만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힙니다.

글또 & 글쓰기

글또 9기, 10기에 연속으로 참여하면서 블로그 글을 쓰고 있습니다. 이 글도 그 일환입니다. 하지만 여태껏 뭔가 만족스러운 글을 쓴 것 같지 않습니다. 글쓰는 과정이나 실력이 진보한 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글에 들이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글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글또에 가입할 때 다짐으로 적었었는데 충분히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창업과 병행한다는 이유도 있지만 그저 핑계인 것 같습니다. 좀 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생각에서 발전해서 방법을 발전시켜야 할 것 같습니다.

마무리

2025년에는 다음 목표를 이뤄보려고 합니다. 작년보다 성장한 한 해가 되길 바라며.

  • 노코드/로우코드를 써서 작은 프로젝트 해보기
  • 코딩보다 대화를 더 많이하기, 특히 더 많이 듣기
  • ‘많은 사람을 돕기’라는 액션 아이템 구체화하기